Home사업소개검사서비스
 

유전자들의 프로모터 CpG섬이 비 정상적으로 메틸화되면 우리 몸 속에 필요한 유전자들의 발현이 억제되게 됩니다.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메틸기가 붙은 cytosine이 thymine으로 치환되어 결국에는 유전자들이 점차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.

이들 유전자의 CpG섬에 메틸화에 의해 암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기능이 소실되어 암 발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진 수많은 연구 결과가 이미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. 암 억제유전자의 기능소실은 돌연변이, 결실, 그리고 프로모터 영역의 메틸화로 일어나게 되고. 암 억제유전자의 비활성화는 궁극적으로 암유발의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.
이로 인해 메틸화된 DNA 탐색 기술은 암 발생과 관련된 연구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항암치료를 위한 표적 유전자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현재까지 메틸화된 CpG를 탐색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었습니다.

그 중 현재 많이 사용되는 방법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
첫째, 메틸화된 염기 서열만을 인식하는 제한효소를 이용하는 방법(RFLP)
둘째, Sodium bisulfite 시약을 처리한 후 직접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 (Bisulfite genomic sequencig)
셋째, Sodium bisulfite 시약을 처리한 후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분석하는 방법(COBRA assay)
넷째, 메틸화 특이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분석하는 방법(Methylation specific PCR:MSP)
 
이 중에서 메틸화 특이적 중합효소연쇄반응 (Methylation specific PCR:MSP) 은 간편하고 빠르며 무엇보다도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DNA methylation 분석 방법입니다.
 
 
 
   
 
   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0길 28 마리오타워 1111~1117호 (1117,Mario tower,28,Digital-ro 30-gil,Guro-gu,Seoul,Korea)
TEL : 02 - 2088 - 0055 ~ 8, FAX : 02 - 3409 - 1330
 copyright (c) 2006
goodgene.co.kr all right reserved